[지자체 '트램 열풍' 혁명인가 낭비인가·5]트램 교통혁명 되려면?

치밀한 타당성 분석·시범사업 '필수'
  • 이경진 기자
  • 발행일 2016-12-02

국내 수요 미미 순차적 도입 제기
철도·버스 중간적 성격 교통수단
수요예측시 노선 전환율 검토해야
타 대중교통시스템과 조화 '관건'


2016120101000125700004091
교통 전문가들은 경기도 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트램'이 교통혁명이 되려면 순차적 도입과 확실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시민들의 공감대는 물론, 다른 교통수단과의 조화와 교통체증 해소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김시곤 교수는 "도내 시·군에서 경쟁적으로 트램 도입을 추진하고 있지만, 트램 제작은 국내 수요가 미미하고 관심도가 낮아 소규모에 대한 발주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며 "시범사업을 통해 국내 보급을 가속화하고 친환경 차량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과 같은 제도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또 경제적 타당성 분석과 사업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계획이 정확히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예비타당성 조사지침 상 트램에 대한 수요예측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트램은 도시철도법의 저촉을 받으나 철도와 버스의 중간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수요예측 시 버스노선에서 전환율을 검토해야 한다"며 "노면전차 사업은 소규모이거나 좁은 공간에서의 역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업 타당성 분석 시 좀 더 정확한 기법이 고려돼야 한다"고 밝혔다.

기존의 타당성 분석으로는 정확한 수요예측이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트램 추진시 버스 등 대중교통 시스템과 맞물려야 대중교통 중심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교통정책은 현재 버스 등 대중 교통이용자 우선이기 때문에, 트램의 도입으로 이용자들이 편의성 등에서 시너지효과를 내야 한다는 뜻이다.

명묘희 도로교통공단 책임연구원은 "현재의 대중교통 시스템과의 조화가 관건이다. 전체 차량과 사람들의 통행량 등에 대해 고려가 많이 되고 그것에 맞춰 개발돼야 한다"며 "단기적으로 마을형 순환노선 도입, 급행좌석, 간선·지선의 환승체계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시책사업을 추진해야 효율적 교통시스템이 운영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곽재호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교통실용화연구팀장도 "예를 들면 트램은 순환형으로 간선운행을 담당하고, 버스는 지선운행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조정이 필요하다"며 "트램 도입으로 이용자는 물론 택시·버스 업계와 종사자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치밀하게 검토하고 다각적인 해결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램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수원시는 트램 도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시철도 1호선(트램·수원역~장안구청)' 등과 연계해 2020년까지 20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대중교통 혼합형(수원역~중동사거리)과 궤도형(중동사거리~장안문) 노선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트램은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대중교통혁신의 의미를 갖고 도시의 틀을 바꾸고 문화를 바꾸는 수단"이라며 "현재 버스·택시와 뒤엉키는 교통혼잡과 보행자 안전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 및 버스노선 개편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경진기자 lkj@kyeongin.com

비즈엠 포스트

비즈엠 유튜브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