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시대 '新님비현상'… 동탄 신축아파트 1년째 "집에서 전화가 안터져요"

입주민, '전자파 유해' 이유로 옥상 중계기 설치 반대
통신사, '통화품질 하락' 민원에도 주민 반대로 난감
응급·재난상황 발생시 사고 우려… 피해는 주민몫
  • 윤혜경 기자
  • 입력 2019-09-10 15:39:44

2019090602000003800026051.jpg
휴대폰 전화연결이 어려운 동탄2신도시 동탄자이아파트의 전경. /박소연 기자parksy@biz-m.kr

동탄 신축아파트 휴대전화 먹통
통신사 막론하고 통화품질 저하

"집에서 휴대폰이 안 터져요. 창문 가까이 나가야 전화가 돼요."

지난 3일 동탄2신도시 동탄파크자이아파트 앞에서 만난 초등생 A군은 집에만 들어가면 휴대전화가 먹통이 된다며 이같이 토로했다.

A군이 거주하는 곳은 신축 아파트가 많이 들어선 동탄2신도시 중에서도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은 단지다. SRT 동탄역, 동탄테크노밸리 등 주요 핵심시설이 인접해 있으며 단지 인근에 초등학교 등 교육시설이 소재한다. 또 주변 녹지가 풍부해 입지여건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래서일까. 전용 99㎡ 타입의 해당 단지 분양가는 평균 4억 6천680만 원으로 책정됐으나 지난해 10월 분양권이 5억 1천813만 원(14층)에 매매됐다. 같은 전용의 매매가격도 지난 6월 5억 6천만 원(11층)에서 7월 5억 7천500만 원(3층)으로 1달 만에 1천500만 원이 뛰었다.

이처럼 매해 가격이 오르고 있는 신축 아파트지만 아킬레스건과 같은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했다. 바로 단지 내에서 휴대전화가 먹통이 되는 일이 비일비재한 것.

해당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초등생 B양은 "집 안에서 (전화가) 거의 맨날 안 터져요. 집 전화는 잘 되는데 휴대폰이 잘 안 돼요"라고 말했다. 실제 창문 밖으로 손과 얼굴을 내밀고 전화를 하는 주민의 모습을 종종 목격했다. 몇몇은 밖으로 나와 단지 중앙에 나와 통화를 하기도 했다.

단지 내 공원에서도 전화가 매끄럽지 않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주민 김모(28)씨는 "통신사는 유플러스다. 공원 구석진 곳 같은 경우는 잘 안터진다"라고 떨떠름해 했다.

또 다른 주민 김모(38)씨도 "집에서도 (전화가) 잘 안 터지고, 단지 일부에서도 잘 안 터진다"고 말했다. 그가 사용하는 통신사는 SKT다. 통신사를 막론하고 통화품질이 떨어지는 것이다.

2019090602000003800026052.jpg
통신 연결 확인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해 단지 내에 통화가 어렵다는 걸 확인 할 수 있었다.

옥상 중계기설치 거부 '新님비현상'
'전자파 유해' 판단 중계기 설치거부

단지 앞쪽에 위치한 분양홍보관 직원도 이 같은 상황을 어렴풋이 알고 있었다. 직원은 "신축 아파트 엘리베이터, 주차장에서 (전화가) 안 터지는 건 당연하잖아요. 기존 아파트가 다 그렇지 않나요?"라며 이런 일이 흔한 일인 것처럼 오히려 반문했다.

불편을 호소하는 주민들의 원성이 빗발치는 이 단지. 왜 휴대폰 전파가 잘 안 터지는 것일까. 수요자들의 관심으로 계속 호가는 올라가는 데 말이다.

이와 관련, 한 주민이 조심스럽게 대답했다. 익명을 요구한 C씨는 "님비 때문"이라며 "(중계기를) 옥상에 설치하면 전자파가 위에서 내려온다고 윗세대가, 지상에 설치하면 저층에 거주하는 분들이 반대한다"고 설명했다. 

단지 내 기지국이나 중계기가 설치되면 전자파가 발생, 인체에 유해할 거라 판단하고 설치를 거부하는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배경이 여기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사에서는 당장 취할 수 있는 조처가 없다. 자사 고객의 통화 또는 데이터 품질이 떨어진다는 민원이 쏟아져도 입주자대표자회의나 부녀회 등 아파트 대표회의에서 단지 내 기지국 또는 중계기 설치를 반대하면 설치가 불가하다는 게 이통3사의 공통된 설명이다.
 
 

응급·재난상황 발생시 주민피해 우려
주민 협의통해 통화품질 개선해야

또 분양홍보관 직원의 설명과 달리 이통3사 관계자들은 신축 아파트에 중계기 설치가 안 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했다. 지난 2017년 5월부터 500세대 이상이 거주하는 신규 공동주택에는 이동통신 중계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 다만 그 이전에 허가를 받은 공동주택은 대상이 아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응급 또는 재난상황이 발생했을 때 휴대전화가 먹통이 돼 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낸다. 지난 6월에도 중계기 설치가 안 된 신축 아파트에서 주민이 의식을 잃었으나 휴대전화가 터지지 않아 사망했다.

하지만 아직도 이 아파트 단지에 중계기가 설치되기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중계기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TV, 전자레인지보다 적다. 그런데 인체 유해성 등의 이유로 주민들이 설치를 반대하면 할 수 있는 게 없다. 단지 밖에서 안으로 (전파를) 쏘는 것도 한계가 있다"며 "주민들끼리 협의를 잘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

비즈엠 포스트

비즈엠 유튜브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