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 선언 특별기획-남북의 마디 인천, 새로운 평화와 번영을 말하다·(2)]남북교류 거점이 될 인천항

南北 '뱃길' 열리면 인천항이 뜬다
  • 김주엽 기자
  • 발행일 2018-05-02 제1면

북한 항구와 교역 재개땐 '최적지'
일정 수심 내항 중소형 하역 유리
남포·해주 등 환적항 역할 가능성

2018050101000086400002441
4·27 남북 판문점 공동선언을 계기로 인천항이 남북 교류의 거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평안남도 남포항으로 가는 항로가 운영됐던 인천항은 선박 운항이 가장 빈번하고 물량이 많은 대북 물류의 거점이었다.

이 항로를 운항한 정기 화물선 '트레이드포춘(4천500t급)'호는 매주 한 차례 남과 북을 오가며 남북 경협의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당시 인천항에서 남포로 가는 배에는 섬유류, 화학, 전자·전기제품 등이 실렸고, 인천에는 농수산물, 광물자원, 바닷모래 등이 주로 들어왔다.

분유 원료와 완제품, 밀가루 등 민간단체들의 대북 지원 물품도 대부분 인천항에서 이 화물선을 통해 전달됐다.

남북 간 해상 물동량이 가장 많았던 2007년 트레이드포춘호는 남북을 1만1천891회 오가며, 1천548만t의 벌크 화물과 5만8천455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의 컨테이너를 날랐다.

그러나 2010년 천안함 사건 이후 남북 교역을 중단하는 5·24조치가 발표되면서 물동량은 급격히 줄었고, 이듬해 2천400여t의 화물을 나르고 운항을 멈췄다.

앞으로 남포와 해주 등 북한 서해안 지역 항구와 교역이 재개된다면 가장 최적지는 인천항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남포항·해주항과 가장 가까운 항구이고, 일정한 수심을 유지하는 내항이 있어 북한의 주요 선박인 중소형 화물선의 하역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남흥우 '인천항을 사랑하는 800인 모임' 회장은 "1천t급 수준의 북한 소형 선박은 일정 수준 수심이 확보돼야만 하역할 수 있어 수심이 일정하지 않은 부두에는 접안이 어렵다"며 "(남북 교역은) 내항 등 갈수록 줄어드는 인천항 벌크 물동량이 다시 늘어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부진했던 인천항 환적 물동량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항은 지난해 처음으로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 300만TEU를 돌파했지만, 환적 물동량은 2만4천474TEU(0.8%)에 불과했다.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의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 중 10% 정도가 환적 물동량인 점을 고려하면 매우 저조한 실적이다.

인천~남포 항로가 다시 열리고 인천~해주 항로가 신설되면 인천항의 환적 컨테이너 물동량은 늘어날 전망이다. 북한의 서해 항만은 수심이 얕고 조수 간만의 차가 큰 데다, 겨울철 연간 45일 동안 해빙이 발생하는 탓에 남포·해주·송림항 등의 컨테이너 운송 기능이 인천항으로 이전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게다가 이들 항만은 해외로 연결된 항로가 부족해 48개 항로를 가진 인천항이 북한 서해권역 항만의 환적항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인천항만공사는 북한 남부권역의 수출입 컨테이너 운송과 환적 기능을 인천항이 맡게 돼 물동량이 연간 200만TEU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남북관계 개선으로 인천~남포 뱃길이 이어지면, 남북한 교역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인천항이 서해 물류 중심 항구로 도약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비즈엠 포스트

비즈엠 유튜브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