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인천중구'  (검색결과   3건)

대체지 반대에 묻힌 인천항 남항 석탄·모래부두 이전

동해 석탄, 용역 지연 2023년 완공거첨도 모래, 운영할 업체도 없어해양 관련기관들, 해법 찾기 난색인천 중구 지역의 대표적인 환경 오염원으로 꼽히는 석탄부두와 모래부두 이전이 지연되고 있다.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 중구 남항 석탄부두와 모래부두는 정부의 항만 배치계획에 따라 내년까지 동해항과 서구 거첨도로 이전하기로 했었다. 그런데 대체 시설 건설이 늦어지면서 인천 석탄부두와 모래부두 이전도 지연되고 있다.해양수산부가 2016년 수립한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에는 인천 석탄부두와 모래부두를 2020년까지 다른 지역으로 옮긴다고 돼 있다.남항 석탄부두가 이전하는 강원도 동해항 석탄부두 건설공사는 실시설계 용역이 올해 9월에야 끝날 예정이다. 동해항 일대 주민과 환경단체 반대 등에 부딪혀 사업 추진이 늦어졌기 때문이다. 행정 절차가 차질 없이 진행돼 내년에 착공하더라도 2023년 이후에나 완공될 전망이다.모래부두는 이전 시기조차 불투명한 상태다. 해수부는 애초 서구 거첨도로 남항 모래부두를 이전할 방침이었으나, 아직 새로운 부두를 건설·운영할 민간사업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인근 청라국제도시 주민들이 모래부두 이전에 반대하고 있어 민간사업자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관계자들은 분석하고 있다.석탄부두와 모래부두 이전 문제는 이날 인천항만공사에서 열린 '제8차 인천해양수산발전 고위정책협의회'에서 논의됐다. 이 협의회는 인천시,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인천항만공사가 해양수산 현안을 논의하는 모임이다.이 자리에서 인천시는 "지역 숙원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인 데다 최근 미세먼지 수치가 높아지는 경우가 많아 주민 불만이 커지고 있다"며 "석탄부두와 모래부두 이전을 항만 당국이 조속히 이행해야 한다"고 건의했다.이날 회의에서 석탄부두는 차질 없이 행정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힘을 모으기로 했으나, 모래부두에 대해선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인천해수청 관계자는 "민간사업자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3개 기관이 모래부두와 관련된 논의를 계속 진행하기로 했다"며 "우선 모래부두 주변 지역 환경 개선 방안 등을 마련해 주민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인천의 대표적 숙원사업인 석탄부두와 모래부두 이전문제가 대체부두 건설 지연 등의 이유로 답보상태에 빠져있다. 사진은 인천시 중구 남항 석탄부두 모습 /경인일보DB

2019-04-05 김주엽

개항기 번화가 '싸리재' 다시 주목받는다

중구 답동성당 등 관광 콘텐츠 발굴골목길 재생 계획용역에 의견 반영젠트리피케이션 방지 대책 마련도인천시가 개항기 인천의 최대 번화가였던 중구 '싸리재' 인근의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해 구도심 골목길을 되살리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최근 싸리재 주변 근대역사문화 재생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TF팀을 꾸리고 지난 3일 첫 회의를 시작했다고 4일 밝혔다.TF팀은 인천시와 중구, 인천문화재단, 인천도시공사, 인천관광공사, 인천시 도시재생지원센터 관계자 등 20명으로 꾸려졌다. 이들은 싸리재 인근인 중구 경동과 신흥동에 있는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기초 조사를 벌이고, 시 등록문화재 지정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중구 경동과 신흥동에는 '싸리재' 카페가 들어선 일본식 가옥(1910~1920년 사이 세워진 개량한옥)을 비롯해 답동성당, 인천부윤(현 인천시장) 관사, 물류창고 등이 자리하고 있다.시는 이러한 근대문화유산과 연계한 관광 콘텐츠를 발굴해 상권·관광 활성화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더불어마을 사업, 뉴딜 사업과 같은 도시재생 사업과도 연계해 주민의 정주 여건을 높일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하기로 했다. 상업성에 치우쳐 개발되지 않도록 물류 창고와 같은 건물은 청년·문화 공간과 같은 공공 목적의 시설로 활용할 구상도 갖고 있다.시는 이달 중 착수할 예정인 '골목길 재생 기본계획수립 용역'에 TF팀 회의에서 나온 다양한 아이디어를 포함해 기본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인천 사람들이 '싸리재'라고 부르는 이 길은 배다리철교에서 경동 사거리로 이어지는 고개다. 고갯마루에 싸리나무가 많아 '싸리재'라고 불렸다고 전해진다. 경인철도가 개통되기 전 배를 타고 인천항에서 내린 사람들은 서울로 가기 위해 반드시 이 싸리재를 넘어야 했다. 그 덕에 포목점, 양화점을 중심으로 서구 물건들이 들어오는 번화가가 되면서 개항기엔 '서구문물 전시장 1번지'가 되었다. 2000년대 들어 구도심이 쇠락하며 싸리재의 명성도 사그라들었지만 최근 이곳에 젊은 세대가 즐겨 찾는 상점들로 채워지면서 다시 '핫플레이스'로 주목받고 있다. 활성화와 동시에 임대료가 상승하는 '젠트리피케이션' 조짐도 감지되고 있다. 시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방지하는 대책도 함께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시 관계자는 "골목길 재생 기본계획수립 용역에 앞서 시범적으로 싸리재 길의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도시 재생 방안을 구상하고 기본 계획에 포함할 예정"이라며 "우려되는 싸리재 인근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역시 이를 막기 위한 조례 제정 등을 충분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인천 최고의 번화가에서 구도심으로 쇠퇴한 싸리재에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상점도 늘어나는 등 변화의 바람이 일고 있다. 27일 중구 기독병원 인근 빌딩 옥상에서 본 싸리재 일대. /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2019-04-05 윤설아
1